경제

한국인이 주목하는 중국 ETF와 주식 투자 가이드

Good Review : 굿리 2025. 4. 2. 00:10

 

최근 중국 증시가 상승세를 타면서 한국 투자자들의 중국 ETF와 주식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현재, 한국인의 중국 주식 투자는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뜨거운 열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중국 ETF와 주식 투자 현황, 그리고 투자 시 알아두면 좋을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중국 주식시장의 구조 이해하기

중국 주식시장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A주, B주, H주의 차이점

중국 증시는 중국 내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A주와 외국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B주, 그리고 홍콩 증시에 상장된 H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특히 A주는 상해와 선전 시장에서 거래되며 중국 주식 전체 시가총액의 78%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비중을 갖고 있습니다.

 

주요 중국 지수 소개

중국을 대표하는 주요 지수로는 MSCI중국, 선전종합, 상하이종합, CSI300, 항셍중국기업(H주), 항셍테크 등이 있습니다. 2025년 초 기준으로 가장 큰 상승률을 보인 지수는 MSCI중국(30.5%)이었으며, 그 뒤를 선전종합(29.0%), H주(27.8%) 순으로 따르고 있습니다.

 

한국인이 선호하는 중국 ETF

 

국내 상장 중국 ETF

한국 시장에 상장된 중국 관련 ETF는 2025년 3월 기준 총 44개에 달하며, 수익률 상위 제품들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ETF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셍테크놀로지 ETF: KODEX와 TIGER에서 출시한 제품으로, 최근 1년 수익률이 76%대로 가장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SOL 차이나강소기업CSI500: 최근 높은 상승세를 보이며 30.34%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차이나과창판STAR50 ETF: TIGER(24.65%), ACE(23.36%), KODEX(20.85%) 등의 제품으로 중국의 과학기술혁신 기업들에 투자합니다.
  • 차이나반도체: TIGER 차이나반도체FACTSET 등이 24.32%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차이나심천ChinNext: 중국의 신성장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17%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미국 상장 중국 ETF

미국 시장에 상장된 중국 ETF도 한국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 KWEB(크레인세어스CSI차이나인터넷): 규모가 78억 달러로 가장 크며, 1년 성과는 45%입니다. 다만 표준편차가 47로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CQQQ(인베스코차이나테크놀로지): 홍콩과 중국 본토의 테크놀로지 기업 약 150여 종목을 편입한 ETF입니다.
  • MCHI(아이쉐어즈MSCI 차이나): 홍콩과 본토 등을 고르게 편입하지만 테크놀로지에 집중하는 ETF는 아닙니다.
  • ASHR(X트레커스): 중국 본토 시장에만 투자하는 ETF입니다.

 

한국인의 중국 주식 투자 현황

 

급증하는 투자 열기

2025년 2월 한국 투자자들의 중국 본토 및 홍콩 주식 관련 거래액은 7억8200만 달러(약 1조1340억원)로 전월 대비 200% 증가했습니다. 이는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치로, 같은 기간 일본과 유럽 주식 매수 금액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선호하는 투자 분야

한국 투자자들은 특히 전기차,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중국의 기술 선도 기업들에 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7일부터 28일까지 한국 투자자의 순매수 규모 상위 10개 해외 주식 중 중국 주식이 6개를 차지했으며, 이들 대부분이 첨단기술 기업들이었습니다.

 

순매수 규모 상위 6개 중국 주식

  • BYD Co Ltd-A는 전기차 분야의 선두주자로 2025년 3월 기준 291백만 달러 순매수로 1위를 차지했으며, 항셍테크 ETF의 주요 편입종목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 Suzhou Dongshan Precision Manufacturing Co Ltd-A는 정밀제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56백만 달러 순매수 기록으로 2위에 올랐습니다. 이 회사는 전자회로 및 광전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글로벌 3위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Guangxhou Tinci Materials Technology Co Ltd-A는 배터리 소재 전문기업으로 전기차 산업의 성장과 함께 매수세가 집중되었습니다.
  • Dawning Information Industry Co Ltd-A는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분야에서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기업으로 33백만 달러 순매수를 기록했습니다.
  • 360 Security Technology Inc-A는 사이버 보안 분야의 핵심 기업으로 중국 디지털 전환 정책 수혜를 기대받고 있습니다.
  • Will Semiconductor Co Ltd-A는 자동차용 반도체 설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15백만 달러 순매수를 이끌었습니다.

 

중국 투자 트렌드와 기회 요인

 

경기 부양책의 영향

중국 정부는 2024년 9월 말부터, 그리고 2025년 3월 양회(兩會)를 통해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 증시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초 이후 상하이 종합지수는 2.16%, 선전 성분지수는 4.48%, 홍콩 항셍지수는 13.43% 상승했습니다.

 

3대 투자 트렌드

  • 소비 강국으로의 변모: 중국은 민간소비가 급성장하면서 소비 주도형 경제 성장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14억 인구가 이끄는 중국 소비시장은 미국을 넘어 최대의 소비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산업구조 고도화: 중국의 3차 산업 비중이 전통산업을 앞서고,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기술집약적 제품의 수출이 증가하는 등 산업구조가 재편되고 있습니다.
  • 대규모 인프라 투자: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도시화 촉진을 위한 인프라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

 

분산 투자의 중요성

중국의 ETF도 다양하게 분산해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테크놀로지 중심으로 급등하면서 항셍테크나 KWEB 같은 ETF로 자금이 몰리는 경향이 있지만, 시장이 꺾일 때를 대비해 투자를 분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변동성 대비

중국 시장은 높은 수익률 잠재력과 함께 변동성도 큰 편입니다. 특히 KWEB과 같은 ETF는 편입종목수가 30여개로 작아 변동성이 높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정책 리스크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통화 정책, 재정 정책, 산업 규제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최근의 부양책 효과가 실제 경제 펀더멘털에 반영되기까지는, 경기와 가격의 신호 등락과 함께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중국 투자의 현명한 접근법

 

중국 주식 및 ETF 투자는 높은 수익 가능성과 함께 리스크도 수반합니다. 특히 최근 중국 정부의 AI와 첨단기술 산업 육성 정책, 대규모 경기 부양책은 중국 증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열광보다는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게 다양한 ETF에 분산 투자하는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한국인들의 중국 주식 투자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첨단기술 산업을 중심으로 한 투자와 다양한 ETF를 통한 접근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항셍테크, 과창판, CQQQ와 같은 ETF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되, 시장 변동성을 고려한 분산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